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838

令和의 유래 令和 일본의 왕이 바뀌면서 사용하게될 연호임. 풀이 하자면 좋고 좋다. 즉 좋은일본, 길한일본이란 뜻임. 영화의 근원은 初春令月 氣淑風和(초봄 좋은달 천지기운은 맑고 바람은 조화롭다) 란 시구에서 따온 것이며 , 令月은 음력 2월을 뜻하며 상서롭고 좋은달이란 뜻이고 , 和는 온화하다, 잔잔하다,곱다라는 의미이지만 和자는 일본을 상징하는 문자이기도 함(和服 : 일본옷, 和食 : 일본음식, 大和 : 야마토) 위의 시 구절은 7세기 후반부터 8세기 후반에 걸쳐 지어진 만엽집이란 일본 고전 시가의 한구절로서 총 4.207편의 시가 수록되어 있으며 요즘도 일본 젊은이 들이 가장 많이 읽는 고전임 일본의 연호는 7세기 무렵부터 사용 되었으며 지금 까지는 중국의 고전에서 인용하였지만 이번왕의 연호는 중국의 고전이 아.. 2019. 4. 4.
나의 선물 얼굴은 그분이 주셨지만, 표정은 내가 드릴 선물 몸은 그분이 주셨지만, 건강은 내가 드릴 선물 시간은 그분이 주셨지만, 활용하는 건 내가 드릴선물 입은 그분이 주셨지만, 좋은 말을 하는 건 내가 드릴 선물. 눈은 그 분이 주셨지만 세상의 밝은곳 어두운곳 바로보는 선물 귀는 그분이 주셨지만, 애써 귀 기울여 듣는 건 내가 드릴 선물 손은 그분이 주셨지만, 땀 흘려 수고하는 건 내가 드릴 선물 발은 그분이 주셨지만, 사명 따라 뛰어가는 건 내가 드릴 선물 가정은 그분이 주셨지만, 천국으로 만드는 건 내가 드릴 선물 남편(아내)은 그분이 주셨지만, 사랑하고 섬기는 건 내가 드릴 선물 자식은 그분이 주셨지만, 가꾸고 키워가는 건 내가 드릴 선물(옮겨온 글) 2019. 3. 27.
빨간지붕이 있는 가을풍경 , 2019. 3. 25.
가을이 오면 김용석의 가을이 오면 한글 궁체 나는 꽃이에요 잎은 나비에게 주고 꿀은 솔방벌에게 주고 향기는 바람에 보냈어요 그러나 난 잃은게 하나도 없어요 더 많은 열매로 태어 날거에요 가을이 오면 2019. 3. 14.
너무 잘하려 하지마라 너무 잘하려 하지 말라 하네. 이미 살고 있음이 이긴 것이므로. 너무 슬퍼하지 말라 하네. 삶은 슬픔도 아름다운 기억으로 돌려주므로. 너무 고집부리지 말라 하네. 사람의 마음과 생각은 늘 변하는 것이므로. 너무 욕심부리지 말라 하네. 사람이 살아가는데 그다지 많은 것이 필요치않으므로. 너무 연연해 하지 말라 하네. 죽을 것 같던 사람이 간 자리에 또 소중한 사람이 오므로. 너무 미안해 하지 말라 하네. 우리 모두는 누구나 실수하는 불완전한 존재이므로. 너무 뒤돌아보지 말라 하네. 지나간 날보다 앞으로 살 날이 더 의미 있으므로. 너무 받으려 하지 말라 하네. 살다보면 주는 것이 받는 것보다 기쁘므로. 너무 조급해 하지 말라 하네. 천천히 가도 얼마든지 먼저 도착할 수 있으므로. 죽도록 온 존재를 사랑하라.. 2019. 2. 24.
나를 잊지 말아요 지금은 괴로워도 날 잊지 말아요 서리 내린 가을밤 물 넘친 징검다리를 건너던 내 빨간 맨발을 잊지 말아요 지금은 괴로워도 날 잊지 말아요 산들바람 부는 느티나무 아래 앉아 강물을 보던 그밤을 잊지 말아요 내 손을 잡던 따스한 그대 온기 식지 않았답니다 나를 잊지 말아요 (김용택 ).. 2019. 2. 17.
부화취실 敷華就實(부화취실) : 꽃이피고 열매가 맺다 苗而不秀者 有矣夫! 秀而不實者 有矣夫! (묘이불수자 유의부 수이부실자 유의부) 싹이 돋았으되 꽃이 피지 않는 것도 있고, 꽃이 피었으되 열매가 맺히지 않는 것도 있도다! 《논어(論語) 자한(子罕)편》 註. 苗 : 싹 묘 秀 : 꽃필 수 實 : 열매 실 有矣夫! : 있도다 者有矣夫 : ~하는 자가 있도다 공자가 가장 사랑했던 제자인 안회가 서른즈음에 죽자 공자가 안타까워하며 했던 말이라고 전해집니다만, 상당히 중의적(重義的)으로 사용되는 문장입니다. 공자 입장에서 해석해보면 아래와 같을 것으로 짐작합니다. 苗 : (안회가) 태어나서 秀 : 열심히 학문을 닦아서 이만한 제자 드물다 생각했는데 實 : 배운 바를 실현하지 못하고 (죽어서 안타깝꾸나) 그러나 여러 의미.. 2019. 2. 16.
하피첩 霞被帖(하피첩) 病妻寄敝裙(병처기폐군) 병든 아내가 해진 치마를 보내며千里託心素(천리탁심소) 천리 먼 길 애틋한 정을 담았네歲久紅己褪(세구홍기퇴) 흘러간 세월에 붉은 빛 다 바래서悵然念衰暮(창연염쇠모) 만년의 서글픔을 가늘 수 없구나裁成小書帖(재성소서첩) 마름질로 작은 서첩을 만들어聊寫戒子句(요사계자구) 아들을 일깨우는 글을 적는다庶幾念二親(서기염이친) 부디 어버이 마음을 잘 헤아려終身鐫肺腑(종신전폐부) 평생토록 가슴에 새기려무나敬義  (공경하는 마음가짐으로  내면을 바르게하고)直方  (정의로움으로  행동을 반듯하게 한다)(敬以直內  義以方外)  주역에 있음. 하피(霞帔)는 옛날 예복의 하나다. "붉은 노을빛 치마"를 말한다.   하피첩(霞帔帖-노을 하(霞), 치마 피(帔), 문서 첩(帖))은 노을빛 치.. 2019. 2. 14.
모란이 있는 고궁 , 2019. 2. 14.
풍차 2 2019. 2. 2.
行路難( 행로난 ) 행로난(인생길 어렵네) 金樽美酒斗十千  玉盤珍羞直萬錢  ( 금준미주두십천 옥반진수치만전 )停杯投箸不能食  拔劍四顧心茫然  ( 정배투저불능식 발검사고심망연 )欲渡黃河氷塞川  將登太行雪暗天  ( 욕도황하빙색천 장등태항설암천 )閒來垂釣坐溪上  忽復乘舟夢日邊  ( 한래수조좌계상 홀부승주몽일변 )行路難 ( 행로난 )  行路難 ( 행로난)多岐路  今安在 ( 다기로   금안재)  長風破浪會有時  直掛雲帆濟滄海 (  장풍파랑회유시 직괘운범제창해)              ----이백--- 황금 항아리의 좋은 술 한 말에 일만 금 옥 쟁반의 진수성찬 만냥에 달하건만 차마 먹을 수 없어 잔 내려놓고 젓가락 던져둔 채 칼 빼어들고 주위를 돌아보니 마음은 아득하누나  황하를 건너자니 얼음물로 막히었고  태항산 오르자니 눈보라 .. 2019. 1. 31.
나그네 꽃뜰 이미경체 박목월 시 나그네 2019. 1.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