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나의 취미 생활/한문서예

梅一生寒不賣香(매일생한불매향)

by 까마귀마을 2023. 6. 9.

 

 
매일생한불매향(梅一生寒不賣香)

桐千年老恒藏曲 (동천년노항장곡)  오동나무는 천년이 지나도 같은 소리를 내고
梅一生寒不賣香 (매일생한불매향)  매화는 아무리 추워도 향기를 팔지 않느니
月到千虧餘本質 (월도천휴여본질)  달은 천번을 이즈러져도 본질은 남고
柳經百別又新枝 (류경백별우신지)  버들은 백번 꺽여도 새가지가 돋아 나더라.
                                 ------申欽-----



 詩는 조선의 4대 문장가인 象村(상촌) 申欽(신 흠  1566-1628)) 선생이 유배시절 지은 野言이란 수필집에 실려있는 칠언절구의 漢詩로 별도의 설명이나 해설이 필요 없을 정도로 우리에게 널리  알려져  있는 詩다.
퇴계 선생의 평생 좌우명 이기도 하며, 백범 김구 선생이 말년에 휘호로 남겨서 더욱 알려지고 유명해 졌다. 아마도  김구선생은 귀국한 이후, 국내에 남아있던  인사들이 일본의 감시속에 달과 버드 나무처럼  이지러지고 꺾일 수 밖에 없는 처지를 헤아리고 그런 마음을 담아 이 구절을 유묵로 남긴 것이라고 추측되며   특히  梅一生寒不賣香은 사화와 당쟁이 많았던 조선 중 후기 사림 선비 들에게  지조를  대신하는 좌우명으로 널리 쓰였다고 한다.

오동나무와 매화, 달, 버드나무를 빗대 지조 의리를 강조한 칠언절구로, 앞의 오동과 매화는 처음부터 변하지 않는 본성에 충실한 점을 강조했다면, 달과 버드나무는 일시적으로 변하더라도 초심(初心)은 변함없음을 알리고 있다.

제 1구인 桐千年老恒藏曲 (동천년노항장곡)은 조용히 때를 기다리는 隱忍自重을 말하고,
제2구 梅一生寒不賣香 (매일생한불매향)은 일편단심의 憂國忠節을,
제3.4구인 月到千虧餘本質 (월도천휴여본질) 柳經百別又新枝 (류경백별우신지)은 백절불굴의 항거정신을 말하고 있지만 이시를 지은 신 흠은 광해군 집권시에 유배 간적은 있지만 정치적으로 이 詩에 그려진 것 같은 그렇게 굴곡적이고 어려운 시절을 겪은 사람은 아니고 비교적 순탄한 공직생활을 하며 최고의 벼슬에 오른 사람이다.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을 겪기도 하였지만 일편단심의 충절을  요구하거나  천번  백번 꺽일지라도 투지를 불태우라고 자신이나 타인에게 바라거나 격려할 정도의 시대나 정치환경에 살아 왔다고는 말하기 어려워 신흠선생이 지은 이 詩는 또 다른 의미를 주기도 한다.

상촌 신 흠 선생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며  뛰어난 문장력으로  명나라에 보내는 각종 문서를 저작 하였을 정도로 시 문에 뛰어 났으며 시문의 정리및 각종 저작에 참여 하기도 했다. 
程朱學(정주학 : 중국 송나라 때에 일어난 새로운 유학)자로 이름이 높아 이정구, 장유, 이식과 함께 한문학의 태두로 일컬어 지고 있다. 

한문학의 높은 경지에 이른 신흠은  또한 시조 작가로도 많이 알려진 문학인이다.  시조에 깊은 관심을 가져 한시로 표현 하기 어렵거나 읊기 어려운 시 문을  시조로 노래했으며 스스로 시조 30여수를 지었다. 30수가 되는 시조 창작은 개인별 작품 수로 보아 일곱 번째로 많은 창작에 해당한다

그의 시관(詩觀)은 서정의 형상화에 중점을 두었는데, 자율성을 찾음으로써 시의 폭을 넓혔고, 내실을 주장함으로써 시의 속을 다졌다는데 그 특징이 있다.

그 결과, 그의 시조는 주자학적 도덕주의의 도식화에서 벗어나 규범화된 덕목들에 얽매이지 않고, 시인의 서정으로 이루어낼 수 있는 다양한 경지를 적절히 형상화 했다는 점에서 문학사적 의의를  부여 받을 수 있다. 저서 및 편서로는 상촌집 ·야언.( 野言)등이 있다.

조선 중기에 문과에 급제하여 예조판서, 좌의정, 우의정, 영의정을 지냈으며 그의 아들이 선조의 딸과 결혼하여 왕과 사돈이 되기도 하였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