雜詩(잡시)
君自故鄉來(군자고향래) 그대는 내 고향에서 오셨으니
應知故鄉事(응지고향사) 고향 소식을 알고 있겠지요
來日綺窗前(내일기창전) 고향에서 오던 날 비단 창문앞에
寒梅著花未(한매저화미) 한매꽃이 피어 있더이까
---王維(왕유)----
註.
雜詩(잡시) : 특정한 제재에 내용이 한정되지 않는 시,
應知(응지) : 應은 추량을 나타냄, 알고 있겠지
綺窗(기창) : 綺는 비단, 窗은 窓과 같음
著花(저화) : 꽃을 피우다, (著: 나타날 저, 着과 같음)
寒梅(한매) : 겨울에 피는 매화
타향에서 고향 사람을 만나 고향 소식을 묻고 있다, 창문앞 매화가 꽃을 피웠는지 묻고 있지만 시인의 실제 마음은 꽃이 피었는지가 관심사가 아니라 綺窓이란 말을 통하여 비단 커텐이 처진 창문안에 기거하는 아내의 안부에 대한 궁금증이 더함을 느낄수 있다, 묻고 싶은 많은 사연이 있음에도 마당에 있는 매화에 꽃이 피었는가 라는 물음하나로 고향의 그리움과 아내의 안부를 묻는 꾸밈없는 소박함이 잘 표현되어 있었면서 전반에 고향이란 말을 중복시켜 고향에 대한 짙은 관심을 나타내고 있다. 이 詩는 오언절구의 3부로 된 連作詩중 2번째 작품으로 제목이 雜詠으로 된 본도 있다. 아래 3수를 모두 올립니다.
왕유[王維, (701년 ~ 761년,)
자는 마힐(摩詰), 분주(汾州, 지금의 산시성(山西省) 펀양(汾陽) 출신]는 중국 성당 시기의 시인이며 화가이자 관료로, 이백은 천재天才, 두보는 지재地才, 왕유는 인재人才로 평하기도 하고, 각각 시선詩仙, 시성詩聖, 시불詩佛이라 하였습니다.
시,서,화,음악에 능통하였고, 문학적으로는 산수전원시를 많이 창작하였고, 그림 방면에서는 중국 남송화의 비조로 추앙되며 음악에도 정통하였으며, 회화성이 뛰어나고 선취(禪趣)가 풍부한 산수전원시를 많이 썼습니다. 안녹산 반군에게 잡혀 반강제적으로 관직을 맡았다가 난 평정후 하옥되어 죽을 뻔한 것을 동생 왕진의 구명운동으로 풀려났고, 독실한 불교신자였던 어머니의 감화를 받아 불교에 귀의하였고, 40세 때 장안 남쪽 남전현에 있는 망천 별장을 얻어 친구 배적과 더불어 반관반은(半官半隱 )생활을 하며 자연에서 노니는 즐거움을 시로 읊었습니다.
1首
家住孟津河[가주맹진하] 우리집은 맹진 물가에 있어서
門對孟津口[문대맹진구] 문은 맹진나루를 마주하고 있었지요.
常有江南船[상유강남선] 언제나 강남에서 배가 오면은
寄書家中否[기서가중부] 집에서 오는 소식이 있나 물어본답니다
*孟津[맹진] 옛날 황하에 있던 나루 (하남성 맹진현의 동북쪽, 맹현의 서남쪽)
2首
君自故鄉來(군자고향래) 그대는 내 고향에서 오셨으니
應知故鄉事(응지고향사) 고향 소식을 알고 있겠지요
來日綺窗前(내일기창전) 고향에서 오던 날 비단 창문앞에
寒梅著花未(한매착화미) 한매꽃이 활짝 피어 있더이까
3首
已見寒梅發[이견한매발] 이미 한매가 핀것을 보았으니
複聞啼鳥聲[부문제조성] 새들이 우는 소리 다시 들리네요
愁心視春草[수심시춘초] 시름에 겨워 봄 풀을 보고있으니
畏向玉階生[외향옥계생] 옥돌 계단에 싱싱하게 나아갈까 두렵네요.
(全唐詩[전당시] 卷128)
'사연이 있는 한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金縷衣(금루의) (0) | 2022.05.24 |
---|---|
成三問의 絶命詩 (황천 가는 길엔 주막 하나 없다는데) (0) | 2022.05.14 |
曲江--(杜甫) (0) | 2022.04.05 |
황진이 시 모음 (0) | 2022.03.28 |
月下獨酌 (월하독작) (0) | 2022.03.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