春興 (봄의 흥취)
春雨細不滴(춘우세부적) 봄비는 가늘어서 방울지지 않더니
夜中微有聲(야중미유성) 밤이 되니 나직한 소리가 들리네.
雪盡南溪漲(설진남계창) 눈 녹으면 남쪽 개울물이 불어날텐데
草芽多少生(초아다소생) 풀싹이 얼마나 돋아나려나?
--- 圃隱 鄭夢周 ---
이시는 포은이 언양에 유배 되었을때 시름을 달래며 지었다고 알려지고 있다.
시인은 비에서 봄을 느낀다. 봄의 잔잔함을 느끼게 해 주는 봄비이기 때문이다. 시인이 만난 봄비는 보슬비보다도 더 가는 듯하다. 방울조차 맺지 못하는 안개 수준의 비로 보인다. 그러니 낮에는 그 소리도 들리지 않는다. 깊은 밤이 되어 사방이 고요해지자, 그때야 소리가 희미하게 들릴 뿐이다.
봄의 잔잔함을 이보다 더 감각적으로 표현할 수는 없을 것이다. 이렇듯 잔잔한 봄비지만, 그 공능은 결코 잔잔하지 않다. 철옹성 같던 계곡 주변의 눈들을 다 녹여 버리는 위력을 발휘한 것이다. 눈 녹은 물이 계곡으로 흘러들어 가 남쪽 계곡물이 불어난 게 눈에 띄일 정도였다. 그리고 땅속에서 아직 나오지 못했던 풀싹들이 돋아나는 것도 이 잔잔한 비의 힘이 아닐 수 없다.
봄비는 가늘어 방울 맺히지도 않고, 소리도 거의 없다. 큰 소리 내어 떨어지지 않지만, 스미어 들지 않는 곳은 없다. 눈도 녹이고 싹도 돋아나게 한다. 하루가 다르게 세상의 모습을 바꾸는 기계가 있다면, 그 윤활유가 봄비인 셈이다. 봄비 그치거든 산야에 나가 보는 것을 잊으면 안 된다. 봄의 변화된 파노라마를 볼 기회이지 않은가
(글 :김태봉 서원대 중국어과 교수)
정몽주는 고려 말기의 충신이자 유학자로 자는 달가(達可), 호는 포은(圃隱)이다. 과거에 연이어 장원을 하였으며 이색의 문하에서 수학했다. 오부학당과 향교를 세워 후진을 가르치고, 유학을 진흥하여 성리학의 기초를 닦았다. 원·명 교체기에 명나라와의 외교 문제를 깔끔하게 해결했으며 왜국과의 관계에도 큰 공을 세웠다.
그는 친명파로서 이성계, 정도전 등과 의견을 같이하여 창왕을 폐하고 공양왕을 옹립했다. 그러나 이성계를 왕으로 세우는 이른바 역성혁명(易姓革命)은 분명히 반대하여 서로 정적이 되었다. 부상당한 이성계의 병문안을 위해 만난 이방원과 정몽주가 그 유명한 ‘하여가’와 ‘단심가’로 서로의 의중을 교환한 후 정몽주를 살려 둘 수 없다고 생각한 이방원이 조영규를 시켜 병문안을 마치고 돌아가는 정몽주를 선죽교에서 피살했다. 그러나 조선 개창 후 이방원은 정몽주를 영의정에 추증하고 ‘문충’이라는 시호를 내렸다.
정몽주의 마지막은 이해하기가 쉽지 않다. 그는 이성계가 낙마하여 부상당하자 바로 이성계 세력을 제거하는 작전에 들어갔다. 이로 인하여 상대가 극도로 긴장해 있던 상황에서 그는 아무런 대비도 없이 단신으로 병문안을 갔고, 돌아오는 길에 피살되었다. 왜 이런 일이 일어난 것일까. 그들은 동지였지만 사실은 서로를 너무 몰랐던 것이 아닐까. 아니면 나라의 안위가 개인의 생명보다 더 중요하다고 생각해서일까. 설마 권력을 탐하여? 정몽주는 이성계 부자를 설득하면 고려 왕실은 그대로 둘 것으로 생각했고, 그렇게 하진 않더라도 설마 자신을 죽이기까지야 하겠느냐고 생각했을 것이다.
포은의 처지를 딱하게 여긴 어느 스님이 “강남 만 리에 들꽃이 만발했으니 봄바람 부는 어느 곳인들 좋은 산 아니겠소(江南萬里野花發 何處春風不好山)”라면서 피신을 종용했다는 이야기도 전해 오고 있지만, 확신에 사로잡혀 일을 하고 있는데 이런 이야기가 귀에 들어오겠는가.
산 자는 나라를 얻었고 죽은 자는 명예를 얻었으니 역사는 공평한 것인가.
(출처 : 경북일보 - 굿데이 굿뉴스)
그는 친명파로서 이성계, 정도전 등과 의견을 같이하여 창왕을 폐하고 공양왕을 옹립했다. 그러나 이성계를 왕으로 세우는 이른바 역성혁명(易姓革命)은 분명히 반대하여 서로 정적이 되었다. 부상당한 이성계의 병문안을 위해 만난 이방원과 정몽주가 그 유명한 ‘하여가’와 ‘단심가’로 서로의 의중을 교환한 후 정몽주를 살려 둘 수 없다고 생각한 이방원이 조영규를 시켜 병문안을 마치고 돌아가는 정몽주를 선죽교에서 피살했다. 그러나 조선 개창 후 이방원은 정몽주를 영의정에 추증하고 ‘문충’이라는 시호를 내렸다.
정몽주의 마지막은 이해하기가 쉽지 않다. 그는 이성계가 낙마하여 부상당하자 바로 이성계 세력을 제거하는 작전에 들어갔다. 이로 인하여 상대가 극도로 긴장해 있던 상황에서 그는 아무런 대비도 없이 단신으로 병문안을 갔고, 돌아오는 길에 피살되었다. 왜 이런 일이 일어난 것일까. 그들은 동지였지만 사실은 서로를 너무 몰랐던 것이 아닐까. 아니면 나라의 안위가 개인의 생명보다 더 중요하다고 생각해서일까. 설마 권력을 탐하여? 정몽주는 이성계 부자를 설득하면 고려 왕실은 그대로 둘 것으로 생각했고, 그렇게 하진 않더라도 설마 자신을 죽이기까지야 하겠느냐고 생각했을 것이다.
포은의 처지를 딱하게 여긴 어느 스님이 “강남 만 리에 들꽃이 만발했으니 봄바람 부는 어느 곳인들 좋은 산 아니겠소(江南萬里野花發 何處春風不好山)”라면서 피신을 종용했다는 이야기도 전해 오고 있지만, 확신에 사로잡혀 일을 하고 있는데 이런 이야기가 귀에 들어오겠는가.
산 자는 나라를 얻었고 죽은 자는 명예를 얻었으니 역사는 공평한 것인가.
(출처 : 경북일보 - 굿데이 굿뉴스)
'나의 취미 생활 > 한문서예' 카테고리의 다른 글
待郎君(대낭군) (0) | 2022.04.09 |
---|---|
春 日 (0) | 2022.03.31 |
尋胡隱君 (심호은군 : 벗을 찾아 가는 길) (0) | 2022.03.19 |
천정사 ᆞ추사(天净沙 · 秋思 ) (0) | 2022.03.18 |
輿人不求備, 檢身若不及 (여인불구비, 검신약불급) (0) | 2022.03.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