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김미경 기자]
외신이 본 대한민국의 이미지는 "책임 있는 중견국" 연대와 협력을 이끄는 중재자, 국제질서를 선도할만한 역량 갖춘
"선진국" 이라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현재 연간 외신 보도는 10년 전 9.010건보다 10배 넘게 증가했고, 특히 인도·인도네시아 등 신남방국가의 보도가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체육관광부 해외문화홍보원은 문재인 정부 출범일인 2017년 5월10일부터 4년 반이 되는 시점인 2021년 11월9일까지 74개국, 2.006개 매체의 기사 12만5375건을 8개 세부 분야로 나누어 자체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23일 밝혔다. 국제사회에서의 우리나라의 위치를 이해하고 대한민국이 나아가야 할 방향과 과제를 알아보기 위한 조사이다.
해외문화홍보원에 따르면 문재인 정부의
국정 1~2년 차에는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로 정의되는 일련의 대북노력이.
국정 3~4년 차에는 코로나 펜데믹 상황하에서 k- 방역으로 일컬어지는 한국식 방역모델이.
국정 4~5년 차에는 방탄소년단, 기생충, 오징어게임등 케이팝과 한류 콘텐츠 열풍 등이 보도량 증가를 견인했다.
분야별 보도 비중을 살펴보면, △한반도 정세(38.4%) △코로나19 대응(13.7%) △한국문화(케이컬처, 11.6%) △한일관계(7.3%) △정상외교(6.2%) △경제(5.6%) △사회(5.6%) △국제(3.6%) △국내정치·환경기술(2.8%) 순으로 나타났다.
2021년 9월 옥스퍼드사전에는 한국어 표현 26개 단어가 무더기로 등재, 외신들은 문화산업의 질적 성장, 정부의 체계적 지원, 온라인 콘텐츠 플랫폼의 발전 등이 한류 열풍의 요인이라고 진단했다. 특히 2020년과 2021년 ‘케이 붐’의 주된 계기로는 그룹 방탄소년단의 인기와 팬클럽 ‘아미’들의 활약, 봉준호 감독 영화 ‘기생충’의 칸 영화제 황금종려상 수상, 넷플릭스 콘텐츠 ‘오징어 게임’의 대성공 등이 거론됐다.
이 사건들을 기점으로 한국문화(케이 컬처) 관련 보도량이 급증해, 국정 5년 차인 ‘반년’ 동안 보도된 양이(3300건) 국정 1년 차 한 해 동안 보도된 양(1.669건)의 두 배에 달했다.
외교와 안보 면에서 외신은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의 추진을 ‘역사적인 사건으로 평가받을 만한 일’로 봤다. 문정부 출범 2년 안에 남북·북미·남북미 정상회담을 잇따라 성사시킴으로써 ‘새 역사’를 썼고 국제무대에서 한국의 외교력과 존재감을 드러냈다는 평가다.
박정렬 해문홍 원장은 “이번 분석을 통해 K-방역과 한류 콘텐츠 열풍이 한국 사회문화에 대한 관심 증대로 이어지고 있음을 확인했다”며 “한국사회의 병폐에 관한 보도들이 한류 성장의 걸림돌이 되지 않도록 문화적 성찰이 중요하다. 늘어난 취재 수요에 맞게 향후 ‘코시스센터’를 외신 취재지원의 거점으로 적극 활용하겠다”고 말했다.
'세상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천 번의 죽음이 내게 알려준 것들』 (0) | 2022.01.02 |
---|---|
너무도 비교되는 기자들 (0) | 2021.12.27 |
쥴리로도 막을 수 없는, 가진자들의 욕망 (0) | 2021.12.18 |
"마스크 착용한 국민 우매한 국민" "재난 지원금 개밥비유" (0) | 2021.12.09 |
북한 (김정은) 정권이 무너지면.... (0) | 2021.11.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