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이야기

무너지는 중산층…가구 여윳돈 월 20만원밖에 없다

by 까마귀마을 2025. 3. 25.

무너지는 중산층…가구 여윳돈 월 20만원밖에 없다

 

'작년 4분기 소득 3분위 흑자액 60만 원대 추락'
 
'5년새 가장 적어…윤석열 정부 이후 계속 줄어'
 
'부동산 세금 늘고 사교육비 부담까지 허리휜다'
 
'가처분소득 감소-소비 위축-내수 부진 악순환'
 
'중산층 흔들리면 경제 기반 자체 무너질 우려'
 

중산층 가구가 한 분기에 벌어서 쓰고 남은 흑자액이 60만 원대로 떨어졌다. 지난 2019년 4분기 이후 70만 원 밑으로 내려온 건 처음이다. 한 달로 치면 여윳돈이 월 20여만 원 밖에 안 된다는 의미다.

흑자액이 이처럼 줄어든 것은 소득은 찔끔 늘어난 반면 부동산 관련 세금, 대출 이자, 교육비 등을 큰 폭으로 늘었기 때문이다. 이른바 부동산 포모(FOMO : Fear of Missing Out/나만 놓친다는 두려움) 심리, 금리 인상으로 대출 이자 압박, 사교육비 부담 등 중산층 가구를 짓누르고 있는 요소들이 반영된 결과로 해석된다.

우리나라 6세 미만 미취학 아동의 1인당 사교육비가 월평균 30만원을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은 서울 강남구 한 영어유치원. 2025.3.13.( 연합뉴스)
 

24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소득 3분위(상위 40∼60%) 가구의 흑자액(실질)은 전년 동기 대비 8만 8000원 줄어든 65만 8000원으로 집계됐다. 2019년 4분기(65만 3000원) 이후 5년 만에 처음으로 다시 60만 원대로 떨어졌다.

가구의 소득에서 이자·세금 등 비소비지출을 뺀 것을 처분가능소득이라 하고, 여기에서 다시 식비·주거비 등 소비지출을 제외한 것이 흑자액이 다. 말하자면 흑자액은 가구의 여유자금이다.

중산층인 소득 3분위 가구의 분기당 흑자액은 지난 2021년 3분기에는 94만 원을 넘기도 했지만, 윤석열 정부 들어 가파르게 줄고 있다. 흑자액은 2022년 3분기 이래 2023년 2분기와 2024년 1분기의 정체 수준의 미미한 증가를 제외하면 나머지 8개 분기에 모두 감소했다. 특히 지난해 2분기부터는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3개 분기 연속 감소했고, 그 폭도 갈수록 커졌다.

                                                                    소득 3분위 가구 흑자액 추이  

 

댓글